Notice

본문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 계산법 신고납부 기간이다. ​2022년 1월 1일부터 1월 25일까지 간이과세자의 신고 &amp납부 기간이고, 일반과세자는 2기 확정 신고 &amp납부 기간이다.​코로나19 피해 사업자는 납부기한을 2개월 연장해 드린다고 하니 참고 바란다.​추가로, 안내사항들이 더 있으니 아래 내용들을 확인하시길 바란다.​​과세기간 및 신고납부 기간​법인 사업자는 1년에 4회(3개월마다), 개인 일반 사업자는 1년에 2회(6개월마다) 부가가치세를 신고, 납부한다.​​​개인 간이과세자는 1년에 1번 신고, 납부한다.​올해 창업을 하셨다면 다음 해 1월에 부가세 신고를 하시면 되니, 올해는 신고하지 않으셔도 된다.​​​2022년 기준 일반과세자 : 1년간 매출액 8,000만 원 이상간이과세자 : 1년간 부가가치세 계산법 매출액 8,000만 원 미만​부가가치세 계산법부가가치세 = 매출세액 - 매입세액으로 계산한다.​일반과세자는 매출세액 = 공급가액 * 10%매입세액 = 매입가액 * 10%​간이과세자는매출세액 = 공급대가 * 업종별 부가가치율 * 10%공제세액(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이 아닌 '공제세액'으로 표기한다.) = 매입액 * A​A는 2021년 7월을 기점으로 개정이 되어 변경되었다.7월 이전에는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곱해주고,7월 이후에는 0.5%를 곱해준다.​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은 아래와 같다. ​​사실 이렇게 얘기하면 와닿지 않는다. 그래서 예시를 들어보겠다. (2021.7.1 이후 기준)​내가 옷을 2000원에 떼와서 10000원으로 판매했다고 하자.배송비를 포함했다 치고, 총매출액은 10000원, 매입액은 2000원이다.여기서 세율을 부가가치세 계산법 적용한다.​일반과세자는 10%의 세율이 적용된다.매출세액 = 매출액 * 10% = 1000원매입세액 = 매입액 * 10% = 200원이고, 일반과세자의 부가가치세를 계산해 보면 1000 - 200 = 800원이다.​간이과세자는 '소매업' 기준으로 얘기해 보겠다.매출세액 = 매출액 * 15%(업종별 부가가치율) * 10% = 150매입세액 = 매입액 * 0.5% = 10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계산을 해보면, 150 - 10 = 140원이다.​내가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계산에 도움을 받은 유튜브 링크를 걸어두겠다.​찾아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것이고 전혀 모르는 분인데 나에겐 도움이 되었다.​​​간이과세자가 일반과세자에 비해 현저히 적은 부가가치세를 내는 부가가치세 계산법 것을 알 수 있다.​게다가 이 부가가치세는 연 매출 4800만 원 미만인 간이과세자는 면제다. 대신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한다.​다만 신규 사업자나 직전연도 매출액이 4천800만 원 미만인 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을 수 없다.​이런 것들을 잘 따져서 시작하실 때 일반과세자로 시작하실지, 간이과세자로 시작하실지 잘 파악하셔야겠다.​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는 것이 이득이라면 일반과세자로 신고하셔야 한다. 일반과세자는 물건 등을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 세금계산서 상의 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부가가치세 홈택스 신고 위치 및 안내 영상 링크​부가가치세 신고 방법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 계산법 자세히 다루지 않을 예정이다.​신고는 홈택스에서 하시면 되고, 상단의 '신고/납부' 탭에서 '부가가치세'를 클릭해 주면 신고하는 사이트로 들어가실 수 있다.​​참고로 연말정산 기간과 겹치기 때문에 1/17(월)부터 1/20(목)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 동안에는 부가가치세 신고 관련 대량 조회를 일시 제한한다고 한다. 참고하시길 바란다.​​​국세청에서 제작한 2022년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 동영상이 있어서 링크를 가져와봤다. 이걸 보시고 따라 해보시면 되시지 않을까 싶다.​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건축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2-01-03 전체 6 건 페이지 1 / 1 건축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부가가치세 계산법 (2021년 2기 확정)건축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일반과세자용) 2022-01-03 도소매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2기 확정)도소매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일반과세자용) 2022-01-03 부동산임대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2기 확정)부동산임대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일반과세자용) 2022-01-03 음식업 사업자를 위...​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부동산임대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2-01-03 전체 4 건 페이지 1 / 1 부동산임대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확정) 부동산임대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간이사업자용) 2022-01-03 소매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부가가치세 계산법 확정) 소매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간이사업자용) 2022-01-03 음식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확정) 음식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간이과세자용) 2022-01-03 화물운수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추가)2022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안내 영상 경로 링크를 추가로 첨부한다.​설명해주시는 박세범 세무사님께서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온라인 교육 사이트에서 강의도 하시는 분이시라 도움이 되시지않을까 싶다. 원하는 부분만 타임라인으로 보실수도 있다.​​이렇게 부가세까지 정리해 보자면,​스마트 스토어의 마진을 계산할 때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제품 수수료 = 판매가 * 5.63% (상품 검색으로 유입 후 구입 시)네이버 스마트 부가가치세 계산법 스토어 배송비 수수료 = 판매가 * 3.63%부가세 = (판매가 * 10% * 15%) - (매입액 * 0.5%)를 계산해 주시면 될 것이다.(소득세, 광고비 등 제외)​​공부한 내용을 최대한 적어봤는데, 여전히 쉽지 않긴 하다.​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한다.​​함께 보면 좋은 글​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수수료 종류, 확인 방법스마트 스토어를 운영한다면 지불하게 되는 네이버 수수료는 2가지가 있다. 1. 주문관리 수수료 2.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간이사업자 4대 보험 궁금증 간단 정리스마트 스토어 혹은 쇼핑몰을 운영하시는 분들 중에 4대 보험에 대한 몇 가지 부가가치세 계산법 궁금증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