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본문


법률, 컬쳐캐피탈 의료, 금융, K-컬처 등 각 분야 전문 AI x 블록체인 프로젝트 발굴 나서
팀별 3500만원~7억원 지원&hellip홈페이지 통해 참여 팀 수시 접수 중




오픈렛져 로고/사진=오픈렛져 ​





AI블록체인오픈렛져(OpenLedger)는4일한국개발자들을대상으로하는500만달러(한화약70억원)규모의보조금프로그램을발표했다. ​이달 초, 재단을 설립한 데 이어 한국을 포함 전 세계에 자사의 AI 인프라 및 생태계 구축을 본격화하는 컬쳐캐피탈 모양새다. 또한 전략적 파트너인 해시키 캐피탈(HashKey Capital)도 프로그램에 참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전략적 가이던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계획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오픈렛져의 장기적인 비전에 기여하거나, 창의적이고 AI 생태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개발팀 및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한국개발팀중법률,의료,금융,K-콘텐츠등다양한산업에특화된AI모델또는애플리케이션을개발하는팀을공모할계획이다.참여를원하는팀들은오픈렛져의고유블록체인을통해,데이터및모델의투명성을확보하면서개발을진행해야한다. ​선정된 팀별로 최소 2만5000달러에서 컬쳐캐피탈 최대 50만달러(원화 기준 약 3500만 원~7억 원)의 보조금을 받게 되며, 오픈렛져의 모델 툴링과 글로벌 AI 전문가들의 멘토링,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데모 데이 기회 등이 함께 제공된다. ​평가는 해당 팀의 ▲기술적 우수성 ▲AI 분야와의 적합성 ▲실질적인 사회적 영향력 ▲오픈렛져 인프라 컬쳐캐피탈 활용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진행된다. 희망 팀은 오픈렛져 홈페이지를 통해 수시로 지원할 수 있으며, 1차 코호트(Cohort)는 6주 후 마감할 계획이다. ​2024년 설립된 오픈렛져는 AI 블록체인으로 데이터, 모델, 에이전트(Agent)를 유동화하여 참여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를 담았다. AI 모델 및 컬쳐캐피탈 데이터를 구축하거나 기여한 모든 유저에게 투명한 보상 시스템을 제공할 계획이다. 데이터넷과 탈중앙화된 인센티브를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고, 책임 소재가 명확하며, 사용자가 공동 소유하는 AI 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다. ​오픈렛져의 핵심 개념은 기여증명(Proof of Attribution PoA)으로 지불형 AI(Payable AI)를 구축해 AI 모델 컬쳐캐피탈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와 기여도를 정확히 추적, 유저에게 정당한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사용된 데이터나 알고리즘이 특정 AI 모델의 성능 향상에 기여했다면, 기여한 유저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보상이 돌아가도록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s)으로 자동 보상을 제공한다. 이 와중에 데이터, 코드, 지식 컬쳐캐피탈 기여의 출처를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기록해 투명성과 신뢰 또한 높아지게 된다. ​오픈렛져의 핵심 기여자인 램(Ram)은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기술적으로 앞선 AI 개발자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 개발자들이 AI를 위한 블록체인 위에서 법률, 의료, 금융, K-컬처 등 각 분야의 전문 컬쳐캐피탈 AI 모델을 탐색하고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기회”라고 말했다. ​해시키 캐피탈의 샤오샤오(Xiao Xiao) 파트너는 “오픈렛져의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AI와 블록체인의 경계선상에서 의미 있는 프로젝트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기회에 유망한 프로젝트를 적극 발굴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출처 : 이슈앤비즈( 컬쳐캐피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