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 계산법 신고납부 기간이다. 2022년 1월 1일부터 1월 25일까지 간이과세자의 신고 &납부 기간이고, 일반과세자는 2기 확정 신고 &납부 기간이다.코로나19 피해 사업자는 납부기한을 2개월 연장해 드린다고 하니 참고 바란다.추가로, 안내사항들이 더 있으니 아래 내용들을 확인하시길 바란다.과세기간 및 신고납부 기간법인 사업자는 1년에 4회(3개월마다), 개인 일반 사업자는 1년에 2회(6개월마다) 부가가치세를 신고, 납부한다.개인 간이과세자는 1년에 1번 신고, 납부한다.올해 창업을 하셨다면 다음 해 1월에 부가세 신고를 하시면 되니, 올해는 신고하지 않으셔도 된다.2022년 기준 일반과세자 : 1년간 매출액 8,000만 원 이상간이과세자 : 1년간 부가가치세 계산법 매출액 8,000만 원 미만부가가치세 계산법부가가치세 = 매출세액 - 매입세액으로 계산한다.일반과세자는 매출세액 = 공급가액 * 10%매입세액 = 매입가액 * 10%간이과세자는매출세액 = 공급대가 * 업종별 부가가치율 * 10%공제세액(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이 아닌 '공제세액'으로 표기한다.) = 매입액 * AA는 2021년 7월을 기점으로 개정이 되어 변경되었다.7월 이전에는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곱해주고,7월 이후에는 0.5%를 곱해준다.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은 아래와 같다. 사실 이렇게 얘기하면 와닿지 않는다. 그래서 예시를 들어보겠다. (2021.7.1 이후 기준)내가 옷을 2000원에 떼와서 10000원으로 판매했다고 하자.배송비를 포함했다 치고, 총매출액은 10000원, 매입액은 2000원이다.여기서 세율을 부가가치세 계산법 적용한다.일반과세자는 10%의 세율이 적용된다.매출세액 = 매출액 * 10% = 1000원매입세액 = 매입액 * 10% = 200원이고, 일반과세자의 부가가치세를 계산해 보면 1000 - 200 = 800원이다.간이과세자는 '소매업' 기준으로 얘기해 보겠다.매출세액 = 매출액 * 15%(업종별 부가가치율) * 10% = 150매입세액 = 매입액 * 0.5% = 10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계산을 해보면, 150 - 10 = 140원이다.내가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계산에 도움을 받은 유튜브 링크를 걸어두겠다.찾아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것이고 전혀 모르는 분인데 나에겐 도움이 되었다.간이과세자가 일반과세자에 비해 현저히 적은 부가가치세를 내는 부가가치세 계산법 것을 알 수 있다.게다가 이 부가가치세는 연 매출 4800만 원 미만인 간이과세자는 면제다. 대신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한다.다만 신규 사업자나 직전연도 매출액이 4천800만 원 미만인 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을 수 없다.이런 것들을 잘 따져서 시작하실 때 일반과세자로 시작하실지, 간이과세자로 시작하실지 잘 파악하셔야겠다.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는 것이 이득이라면 일반과세자로 신고하셔야 한다. 일반과세자는 물건 등을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 세금계산서 상의 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부가가치세 홈택스 신고 위치 및 안내 영상 링크부가가치세 신고 방법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 계산법 자세히 다루지 않을 예정이다.신고는 홈택스에서 하시면 되고, 상단의 '신고/납부' 탭에서 '부가가치세'를 클릭해 주면 신고하는 사이트로 들어가실 수 있다.참고로 연말정산 기간과 겹치기 때문에 1/17(월)부터 1/20(목)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 동안에는 부가가치세 신고 관련 대량 조회를 일시 제한한다고 한다. 참고하시길 바란다.국세청에서 제작한 2022년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 동영상이 있어서 링크를 가져와봤다. 이걸 보시고 따라 해보시면 되시지 않을까 싶다.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건축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2-01-03 전체 6 건 페이지 1 / 1 건축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부가가치세 계산법 (2021년 2기 확정)건축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일반과세자용) 2022-01-03 도소매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2기 확정)도소매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일반과세자용) 2022-01-03 부동산임대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2기 확정)부동산임대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일반과세자용) 2022-01-03 음식업 사업자를 위...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부동산임대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2-01-03 전체 4 건 페이지 1 / 1 부동산임대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확정) 부동산임대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간이사업자용) 2022-01-03 소매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부가가치세 계산법 확정) 소매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간이사업자용) 2022-01-03 음식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 방법 (2021년 확정) 음식업 사업자를 위한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방법(간이과세자용) 2022-01-03 화물운수업 사업자를 위한 전자신고...(+추가)2022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안내 영상 경로 링크를 추가로 첨부한다.설명해주시는 박세범 세무사님께서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온라인 교육 사이트에서 강의도 하시는 분이시라 도움이 되시지않을까 싶다. 원하는 부분만 타임라인으로 보실수도 있다.이렇게 부가세까지 정리해 보자면,스마트 스토어의 마진을 계산할 때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제품 수수료 = 판매가 * 5.63% (상품 검색으로 유입 후 구입 시)네이버 스마트 부가가치세 계산법 스토어 배송비 수수료 = 판매가 * 3.63%부가세 = (판매가 * 10% * 15%) - (매입액 * 0.5%)를 계산해 주시면 될 것이다.(소득세, 광고비 등 제외)공부한 내용을 최대한 적어봤는데, 여전히 쉽지 않긴 하다.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한다.함께 보면 좋은 글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수수료 종류, 확인 방법스마트 스토어를 운영한다면 지불하게 되는 네이버 수수료는 2가지가 있다. 1. 주문관리 수수료 2.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간이사업자 4대 보험 궁금증 간단 정리스마트 스토어 혹은 쇼핑몰을 운영하시는 분들 중에 4대 보험에 대한 몇 가지 부가가치세 계산법 궁금증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강서구 휴대폰 성지 아이폰16 시리즈 핸드폰 할인 어느정도 일까 25.10.27
- 다음글소형 GPS 아이비어클 위치추적기로 우리 아이 이동경로 확인까지 관리하기 25.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