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a href="https://beautyskinguide.co.kr/" target="_blank" rel="noopener" title="피부미용사자격증" class="seo-link good-link">피부미용사자격증</a> 정부가 구글이 신청한 고정밀 지도 데이터의 국외반출 결정을 또 다시 미뤘다. 해외 기업의 고정밀 지도 데이터 국외반출 여부 결정이 세 차례나 보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 측은 구글이 영상 보안처리와 좌표표시 제한 수용 의사를 밝혔지만, 이를 문서로 제출하지 않아 심의가 보류됐다고 설명했다.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11일 국방부·국정원·외교부·과기정통부 등 관계 부처가 참여한 '측량성과 국외반출 협의체'를 열고, 구글에 오는 2026년 2월 5일까지 보완 신청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했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구글의 대외적 의사표명과 신청서류 간 불일치로 인해 정확한 심의가 어렵다"며 "신청서의 기술적 세부사항을 보완하도록 하고, 이를 위한 기간으로 60일을 부여했다"고 설명했다.국토지리정보원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 9월 기자간담회에서 영상 보안처리 및 좌표표시 제한 등 정부 요구사항을 수용하겠다고 밝혔으나, 해당 내용을 포함한 보완 신청서는 제출하지 않았다. 아울러 국내 데이터 센터 설치에 대해서는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 국토부는 구글이 보완 신청서를 제출하면 협의체 심의를 거쳐 국외반출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구글은 지난 2월 국토지리정보원에 자사 해외 데이터센터로의 고정밀 지도(축척 1대 5000 수치지형도) 반출을 신청했다. 이 지도는 도로·골목·담장 등 세부 지형이 표시돼 국가 안보시설 식별 우려가 제기돼 왔다..